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근무환경과 관련하여 근무만족도와 이직하려는 의도 연구

출처:korea-lab powerball game forum (google.com)

우리나라의 장애인체육에 대한 국민인식은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관점에서 탈피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점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장애인체육을 국민체육인 동시에 

문화 활동으로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는 2006년 4.4%에 비해 2014년 14.1%, 2015년 15.8%, 

2016년 17.7%, 2017년 20.1%로 매년 증가하여 2018년 23.8%에 진입하였으며, 

동시에 평창 동계 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의 영향으로 생활밀착형 장애인 체육시설 

150개소를 확충하는 장애인체육 활성화 정책이 발표되었다. 

출처: korea-lab powerball game forum.docx

하지만 아직까지 비장애인의 생활체육참여율 59.2%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장애인체육학계에서는 장애인 생활체육활성화를 위한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장애인체육회에서는 장애인체육발전 중장기계획으로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양성 및 배치, 시·도 장애인체육회 네트워크 구축, 

장애인체육재정 확충, 경기단체별 생활체육교실 운영, 법·제도 정비, 

장애인체육시설 환경 개선에 대한 계획을 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체육학계에서는 장애인 생활체육활성화를 위하여 

윤석민은 장애인체육시설과 스포츠시설 및 규모, 이용자에 따른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의무적으로 배치하여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활용도를 높이고 생활체육시설의 

효과적인 관리를 통하여 지속적인 생활체육 참여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관리 감독에 대한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korea-lab powerball game forum (google.com)

또한 조재훈, 이재환은 향후 장애인생활체육 정책을 실시할 때 지도자, 시설, 프로그램, 

홍보, 조직, 예산 등과 같은 다양한 방면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장애인체육 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대한장애인체육회를 통하여 

지원하고 있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전국의 시·도장애인체육회를 통해 생활체육 사업을 배분 지원하여 

전국적으로 생활체육이 보급되도록 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전국 시·도장애인체육회에서는

찾아가는 생활체육서비스팀을 조직하여 장애인의 생활체육 초기접근은 높이기 위하여 

지도자 배치, 상담 및 이동서비스, 홍보 등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다. 

찾아가는 생활체육서비스 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는 

2021년 전국에 855명이 있다. 

이들은 생활체육현장으로 찾아가 장애인의 생활체육활성화를 위해 

생활체육프로그램 기획 및 지도, 상담 그리고 동호인·클럽 신설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들은 장애인들의 생활체육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도자에 대한 근무환경이나 처우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다.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들은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을 통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돕는 것이다. 

하지만 주 업무인 지도업무 외의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아닌 행정업무와 같은 다양한 

보조업무를 하게 되는데 가장 큰 이유는 고용불안이다. 

이 외에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인원대비 활동면적이 넓고 교육 시설 간 이동이 불편하거나 

교통비가 많이 드는 경우가 많고 점심시간 및 휴무시간이 따로 정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업 시간에 따라 변동이 심하며 식사비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상급 기관으로부터 신규 회원 모집 강요와 주 수업시간 증가, 수업현장점검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또한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종목별 장애인생활체육대회, 시·도별 각종 체육행사 등에 

행사지원을 하는 경우가 많아 주 업무인 생활체육프로그램 지도업무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2년 이상 근무해도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이 안 되는 비정규직 신분이고 

비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들 보다 열악한 조건에서 근무함에도 불구하고 

급여 및 근무환경은 더 열약하다.

이로 인해 많은 시·도별 장애인체육회에서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채용하여도 장기근속자 보다 단기근속자가 많이 있고 

높은 이직률을 보인다.

시·도별 장애인체육회 조직의 구성원들이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조직의 발전과 함께 

구성원 자신의 발전을 도모하고, 장애인생활체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반대로 조직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게 되면 조직의 업무나 자신의 역할을 

소홀히 할 수 있으며, 특히 장애인들을 가르쳐야 하는 장애인체육지도자들에게 있어서 

직무만족도는 더욱 중요하다. 

그 이유는 직무만족도가 떨어지게 되면 장애인들을 지도하는 데 소홀히 하거나 

조직에 대한 충성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장애인체육의 활성화와 대중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은 자신의 업무에 대한 가치 및 태도를 나타내는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김강희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근무환경과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으며 

이경훈, 유병인은 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여건 및 환경에 대한 인식연구를 진행하였고 

박소영(2013)은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를 다룬 

연구는 타 분야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Leave a Reply